2010년 7월 28일 수요일

Redmine 설치

Redmine - flexible project management web application

2008년 1월 25일 BitNami에서 Release 한 Redmine 0.6.3-2 Installer를 기준으로 쓴 글입니다.

BitNami 를 발견하고 귀차니즘 내지는 어려워서 포기하고 있었던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깔아보다가 발견한 놈! 

대략적인 기능은

  • Multiple projects support
  • Flexible role based access control.
  • Flexible issue tracking system
  • Gantt chart and calendar
  • News, documents & files management
  • Feeds & email notifications.
  • Per project wiki
  • Per project forums
  • Simple time tracking functionality
  • Custom fields for issues, projects and users
  • SCM integration (SVN, CVS, Mercurial, Bazaar and Darcs)
  • Multiple LDAP authentication support
  • User self-registration support
  • Multilanguage support
  • Multiple databases support

    딱봐도 trac과 비슷한 점이 많이 보이는데 trac에서 아쉬웠던 점이 대폭 들어가 있습니다. trac에서도 plug-in깔고 Command 창 열고 열심히 타이핑하면 위의 기능을 쓸 수 있지만, Redmine은 모두 웹페이지에서 편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trac을 쓰면서는 phpBB 같은 포럼을 추가로 연동해주곤 했는데 요놈은, 자체적으로 포럼을 가지고 있고 추가로 documents 와 file 만 올려둘 수 있는 메뉴도 있습니다.  
     
    우선 설치를 해보죠.

    1.
    http://bitnami.org/stack/redmine 를 열고 입맛에 맞는 설치본을 고릅니다.


    2. 다운로드가 다 받아지면 더블클릭! (이때, 조금 걸리니 제 블로그 글 읽으면서 이올린에 추천하기를 꼬~옥 눌러주세요 ㅎㅎ)

    3. BitNami 인스톨러는 필요한 모든 구성 요소를 다 가지고 있습니다. 사용자PC 환경에 종속적이지 않기 때문에 편리하지만 간혹 Apache나 MySQL이 미리 설치되있으면 포트번호를 바꿔줘야하죠. 나중에 충돌나지 않도록 신경쓰세요.

    4. 관리에 필요한 계정 정보를 입력합니다. 기본적으로 Redmine 어드민으로 로그인하는데 이용됩니다.

    5. 모든 설치가 끝나면 http://localhost 를 열어보세요. (리눅스나 맥이라면 http://127.0.0.1:8080)

    요런 비슷한 모양의 사이트가 열리면 잘 설치가 된겁니다. 

    ㅎㅎ 설치 한 뒤 눈치챘겠지만, Redmine 사이트도 Redmine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 스스로 개밥을 먹어보라고 했던가요? )

    6. 이제 셋업을 위해 관리자로 로그인 합니다.

    - 아까 인스톨 할때 입력했죠?
     

    7. 자 이제 한글과 관련된 문제들을 해결해 보겠습니다.

    * BitNami 에서 설치해주는 디비 테이블이 기본적으로 UTF8을 지원하지 않는군요.
       - 그냥 써도 무관하나 혹시 몰라 확실히 고쳐보겠습니다.

    아래 작업은 도스창(Command창) 을 열어서 해야하는데 Path 문제로 타이핑이 길어지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C:\Program Files\BitNami Redmine Stack\scripts\setenv.bat를 먼저 실행시키고 하거나 관련 Path를 환경설정 ( 시스템 등록정보 -> 고급 -> 환경변수 중 Path )에 넣어주시면 편합니다.


    1. MySQL DB 새로 생성 - 패스워드는 설치시에 입력한 관리자 패스워드와 동일
      - 모르겠으면 \BitNami Redmine Stack\MySQL\my.ini 열어보면 있음

    \BitNami Redmine Stack\MySQL\bin\mysql -uroot -p
    Enter password: ******

    mysql> drop database redmine_production;
       mysql> create database redmine_production COLLATE utf8_general_ci;

    2. database.yml 수정 - \BitNami Redmine Stack\redmine\config\ 에 있음

    production:
      adapter: mysql
      database: redmine_production
      host: localhost
      username: bitnami
      password: bitnami
      port: 3306
      encoding: utf8

    3. redmine 데이타베이스 마이그레이션

    \BitNami Redmine Stack\redmine\rake db:migrate RAILS_ENV="production"

    4. redmine 각종 기본데이터 넣어주기

    \BitNami Redmine Stack\redmine\rake redmine:load_default_data RAILS_ENV="production"


    트러블슈팅

    • 설치시 입력한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이 안되는 경우

      간혹가다가 관리자 계정이 제대로 입력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때는 직접 DB에 넣어줘야죠. ^^;

      우선 우측 상단 "등록" 링크를 눌러 관리자로 쓸 계정을 하나 생성합니다. (등록 대기기 때문에 이 계정으로는 접속 불가)

      \BitNami Redmine Stack\MySQL\my.ini을 열어보면
      [mysqladmin]
      user=root
      password='*****'
      port=3306

      요런 부분이 보입니다. 편한 MySQL 관리툴을 이용해서 위의 정보로 연결.

      users 테이블을 열면 아까 입력한 계정 정보가 보일 겁니다.
         
      admin 필드 값을 1 로, status 값을 1 로 변경하세요.
    • 한글 파일 업로드 / 다운로드 문제 => 허접한 해결책
      아쉽게도 한글 파일을 업로드 하거나 다운로드 하는게 제대로 안됩니다. -.-
      소스를 조금 고치는 허접한 해결책이 있긴 합니다. 위 링크 누르세요.
    • 서브버전 레파지토리의 경우 한글 파일/한글 폴더는 접근이 안됩니다.
      이건 아직 해결책을 못찾겠네요. ThoughWorks의 Mingle은 다 잘되던데

      이 외, 다른 경우는 아직 겪어보지 못해서... 쓰다가 이상한 점이 발견되면 추가할께요

    출처 : http://twiny.tistory.com/1671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