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7월 29일 목요일

JUnit Test Framework 사용하기

JUnit 은 TDD 개발방식을 구현(?) 할 수 있게 하는 Framework 이다.

 

사용법 :

프로젝트를 Maven 으로 만든 후

Springframework Defenndency 를 추가한 후

Junut : Junit Defendency 를 추가 한 뒤

Maven Package 를 실행한 뒤에

Target의 라이브러리를 Webapp 의 라이브러리로 복사해 넣는다.

 

그 뒤에 src/main/java 와 src/test/java 쪽에 도메인/패키지 명을 동일하게 만든 뒤

Test 패키지 쪽에 테스트클래스명+Test 형식의 클래스 파일을 만든다.

 

코딩 중 다른 클래스를 만들게 되면 src/main/java에 만들도록 한다.

 

그 뒤에

테스트하고자 하는 메소드를 코딩 한 뒤에 Run As -> JUnit Test 를 실행하면 되는데,

이때 메소드 명 위에 마다 @Test 어노테이션이 존재하여야 JUnit Framework가 인식 할 수 있다.

 

실행하고 나면 이클립스 창 아래에 JUnit 이라는 탭이 생기는데

이 탭의 오른쪽 상단에 빨간색과, 녹색의 줄 중 하나의 줄이 생긴다.

 

빨간색 줄은 소스에 오류가 있어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다는 것이고

녹색 줄은 테스트를 통과했다는 것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